밑줄 긋기-<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1장, 왜 문화인가 (한경구) *인간은 특정 문화에서 태어나서 성장하는 가운데, 즉 문화화, encultulation과정에서 특정한 유형의 정보에는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 또 다른 유형의 정보는 차단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이렇게 지각의 패턴이 확립됨에 따라 특정한 공간지각이 차단되기도 하고 발전되기도 한다..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5
잠들면 안 돼, 거기 뱀이 있어- 2009년의 책읽기 23 "흔들러 갔다가 흔들려 나왔다." 언어학자 다니엘에버렛의 30년 동안의 기록이라고 봐도 좋겠다. 브라질원주민인 피다한 부족에게 선교하러 들어간 게 1970년 초, 그러나 원주민 부락의 선교사들을 추방하라는 브라질 정부의 명령에 의해 그곳에서 쫓겨나게 되지만 다시 언어학도로서 그 부족에게 들어..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
마이클폴란의 <맛있는 밥상>- 2009년의 책읽기 22 책 중에 p216-217 전통식사에는 두 가지 차원이 존재한다. 집단의 구성원들이 먹는 음식과 그들이 먹는 방식이다. 이 둘은 똑같이 우리의 건강에 중요하다. 전통식사는 건축 같은 문화의 토착적 창조물들과 비슷하다. 문화는 길고 점진적인 시행착오의 과정을 통해 무엇이 좋은 것인지 찾아낸다. 그리하..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
수업기록-민족지 연구 (1강) 날짜: 2009년 8월 31일 월요일 저녁 6시 반 *Ethnography (민족지)+ Fieldwork의 결과가= 문화인류학 ↓ Ethnos(민족) +graphier (쓰다) : 보고서로서의 결과물 (민족지, 또는 문화기술지,라고도 쓰고 영어식 이름, '에스노그래피'를 그대로 쓰기도 함) *이전의 민족지는 각각의 민족에 대해 썼지만, 현대 사회의 조직에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
민족지 연구 -교수계획서 민족지연구 Seminar on Ethnography 2009학년도 2학기/담당교수: 유철인 교수개요: 민족지ethnography는 조사대상 사회에 들어가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참여관찰과 비공식적 면접에 의거하여 인간행위를 자세하게 기술하고 분석한 보고서를 가리키거나 그러한 과정과 방법을 가리킨다. 민족지는 관찰된 특정의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
영화-오펀,천사의 비밀/욕망의 극한에 악마가 있다. 이 영화의 키워드는 입양,고아, 비밀,정신병,사랑,욕망, 공포 가 될 것이다. 영화를 보고 오니, 남편은 집에 돌아와서도 무섭다고 엄살이다. 고요한 이웃이 어느 날, 악한이 되어 끔찍한 사건을 일으키거나, 선량한 얼굴의 지인이 알고보니 무서운 정신병환자였다는 것은 뉴스거리로 비일비재하지만, .. 字夢のノート(공책)/영화 映画の話 2009.08.24
글쓰기 생각쓰기 중에서 옮김- - 78쪽 사람들이 말하게 하자. 그들의 삶에서 가장 흥미롭고 생생한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법을 익히자. 그 사람이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자신의 말로 직접 들려주는 것만큼 글쓰기를 생동감있게 만들어 주는 것은 없다. 여러분이 아무리 뛰어난 문장가라 하더라도 그가 직접 한 말이 여러분의 글보다..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9
소년의 눈물/서경식,돌베게-2009년의 책읽기 (21) 읽은 날짜: 2009년 7월 15-16 일 책 속에서 꺼내다 한국어판 서문 나는 이 책으로 1995년도 '일본 에세이스트클럽상'을 받았다. 문필가의 삶을 희망하고 있던 나는 이 상을 수상하면서 커다란 힘과 자극을 받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빼어난 일본어 표현'이 이 수상의 주된 이유로 꼽혔다는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6
고뇌의 원근법-서경식의 서양근대미술 기행,돌베개-2009년의 책읽기 19 지은이의 말 '미의식'이란 '예쁜 것을 좋아하는 의식'이 아니다. '무엇을 미라고 하고 무엇을 추라고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의식이다. 자신의 '미의식'을 재검토한다는 것은 자신이 무엇인가를 '예쁘다'고 느꼈을 때,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렇게 느끼는지, 그렇게 느껴도 좋..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