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기록-민족지 연구 (1강) 날짜: 2009년 8월 31일 월요일 저녁 6시 반 *Ethnography (민족지)+ Fieldwork의 결과가= 문화인류학 ↓ Ethnos(민족) +graphier (쓰다) : 보고서로서의 결과물 (민족지, 또는 문화기술지,라고도 쓰고 영어식 이름, '에스노그래피'를 그대로 쓰기도 함) *이전의 민족지는 각각의 민족에 대해 썼지만, 현대 사회의 조직에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
민족지 연구 -교수계획서 민족지연구 Seminar on Ethnography 2009학년도 2학기/담당교수: 유철인 교수개요: 민족지ethnography는 조사대상 사회에 들어가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참여관찰과 비공식적 면접에 의거하여 인간행위를 자세하게 기술하고 분석한 보고서를 가리키거나 그러한 과정과 방법을 가리킨다. 민족지는 관찰된 특정의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
글쓰기 생각쓰기 중에서 옮김- - 78쪽 사람들이 말하게 하자. 그들의 삶에서 가장 흥미롭고 생생한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법을 익히자. 그 사람이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자신의 말로 직접 들려주는 것만큼 글쓰기를 생동감있게 만들어 주는 것은 없다. 여러분이 아무리 뛰어난 문장가라 하더라도 그가 직접 한 말이 여러분의 글보다..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9
소년의 눈물/서경식,돌베게-2009년의 책읽기 (21) 읽은 날짜: 2009년 7월 15-16 일 책 속에서 꺼내다 한국어판 서문 나는 이 책으로 1995년도 '일본 에세이스트클럽상'을 받았다. 문필가의 삶을 희망하고 있던 나는 이 상을 수상하면서 커다란 힘과 자극을 받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빼어난 일본어 표현'이 이 수상의 주된 이유로 꼽혔다는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6
고뇌의 원근법-서경식의 서양근대미술 기행,돌베개-2009년의 책읽기 19 지은이의 말 '미의식'이란 '예쁜 것을 좋아하는 의식'이 아니다. '무엇을 미라고 하고 무엇을 추라고 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의식이다. 자신의 '미의식'을 재검토한다는 것은 자신이 무엇인가를 '예쁘다'고 느꼈을 때,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렇게 느끼는지, 그렇게 느껴도 좋..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4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그 영화의 비밀. 2009년의 책읽기 19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 감독(홍상수, 봉준호, 류승완,유하, 임순례,김태용)을 인터뷰하고 내밀한 이야기를 글로 펼치다 보니 감독론이 된 책. 보지 않았던 영화들, 다시 보고 싶게 하는 감독의 말들이 읽는 재미.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4
벨훅스,계급에 대해 말하지 않기-모티브북/2009년의 책읽기 18 미국은 인종 문제만 있는 줄 알았다. 흑인 차별, 그 다음 유색인 차별 민주주의 나라이지만 골치 아픈 문제는 피부색에서만 연유하는 줄 알았다. 이 책을 쓴 벨훅스는 흑인 페미니스사상가로 1952년 미국 남부 흑인분리구역에서 태어나 1973년 스탠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이후 여성 운동의 대모 역할을 하..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4
디테일토킹-말하기의 기술이라!- 2009년의 책읽기 17 당신의 국어 실력은 어느 정도 입니까? 그것이 대학입시 시험 점수로만 대답해야 하는 것이라면 내 실력이야 우등생 수준이겠지만은 글쎄, 국어능력을 갈래로 나누어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영역으로 구분해 보면 읽기, 듣기, 쓰기에 비해서 말하기 능력이 상당히 저조한 점수를 받을 것이라고 생각..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4
달과 6펜스- 제국주의적 낭만과 예술지상주의 책을 읽으면서야 고등학교 방학 숙제였던 이 책을 읽지 않았었다는 것을 알았다. 책 뚜껑엔 2003년에 중학생이었던 아들이 읽었다는 기록이 있을 뿐, 어른이 되어서도 나는 달과 6펜스의 책 제목만 보고 있었던 것이다. 아마 나는 이미 읽었다고도 생각했을 것이다. "달과 6펜스라는 것은 예술과 현실을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3
공지영 소설 도가니- 2009년의 책읽기 16 공지영이 쓴 글 중에 안 읽은 것도 많구나.. 산문집도 봐야겠다고 생각하였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처럼 이 책 <도가니>도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작가의 필력에 꼼짝없이 잡혀 단숨에 읽고 말았다. 작가가 반년을 쏟아 부어 만들어 낸 작품을 독자인 내가 오후부터 시작해 이른 밤 사이에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