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기록-고전문학(1) 2009/9/15/화 *수업전 (1) 교수 자신을 소개-제주출신, 1943년생, 44년,제주도민소개령,목포에서 성장,서울에서 청년기,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교수 정년퇴직 (2)자기 소개 양식에 자기 소개 글쓰기(공부계획, 연구과제, 읽은 책)-제출 (3) 제주학에 관하여 언어에 대한 관심, 제주도야말로 제주도다운 학문이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16
수업기록-농업사회학(2) 2009/9/10/목 *농업-자본주의의 기원(경쟁-> 착취 -> 이윤추구) 1. 농업자본주의 이전단계-농민/지주/국가 가 존재 자본주의의 시작은 농촌이었다. 자본주의의 발전은 필연적인가? 어떤 우연이나 조건에 의해 만들어졌는가, 자본주의 아닌 방향으로 갈 수 있지 않을까? 영국, 17세기-Improvement, 경제적 이..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16
민족지연구쪽글 3강/지구사람인류학이 있다면 민족지연구 (책: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지구사람 인류학이 있다면, 한국학 박사과정 1학기 2009. 9. 15 텔레비전 다큐 프로그램에서 케냐의 원주민을 보았다. 강가에 살면서 남자들은 물고기를 낚고, 여자들은 야자수 잎으로 집을 만들어 살았다. 풀이 보이지 않는 사막 지방이었는데 섭씨 50 도를 오르..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14
수업기록-민족지연구(2) 2명 빼고 모두 쪽글을 가지고 갔다. 돌아가면서 쪽글을 읽을 줄 알았는데 교수님이 느닷없이 질문을 해서 처음엔 긴장했다. 질문을 하고 학생들이 대답을 하거나 교수님에게 이해 안 된 내용을 질문하여 대답을 듣기도 하고, 그 내용을 가지고 약간의 토론을 하였다. 학생의 대답을 듣고 잘못된 내용이..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10
수업기록-농업사회학 (1) 1.농업사회학-먹는 일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 과목이 인기가 없어서 설강되지도 않을 뿐더러 가르치는 교수도 많지 않다. 가르치는 교수는 연구보조금같은 게 별로 없으니 연구가 없고,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이 부분을 연구하라고 독려하지도 않고 있다. 왜 농업사회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농업..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10
민족지연구 쪽글 (2강) <처음 만나는 문화 인류학- 1장, 2장, 14장>을 읽고, 1.앎의 확장 연 회원으로 등록하고 사우나목욕탕에 다닌 적이 있다. 운동 시간과 목욕 시간이 비슷한 사람들끼리는 가족 보다 더 자주 얼굴을 보게 되더니 두 어 달이 지날 즈음에는 사는 동네, 남편의 직업, 아이가 몇이고 어느 학교에 다니는지, ..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7
밑줄 긋기-<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1장, 왜 문화인가 (한경구) *인간은 특정 문화에서 태어나서 성장하는 가운데, 즉 문화화, encultulation과정에서 특정한 유형의 정보에는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 또 다른 유형의 정보는 차단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이렇게 지각의 패턴이 확립됨에 따라 특정한 공간지각이 차단되기도 하고 발전되기도 한다..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5
잠들면 안 돼, 거기 뱀이 있어- 2009년의 책읽기 23 "흔들러 갔다가 흔들려 나왔다." 언어학자 다니엘에버렛의 30년 동안의 기록이라고 봐도 좋겠다. 브라질원주민인 피다한 부족에게 선교하러 들어간 게 1970년 초, 그러나 원주민 부락의 선교사들을 추방하라는 브라질 정부의 명령에 의해 그곳에서 쫓겨나게 되지만 다시 언어학도로서 그 부족에게 들어..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
마이클폴란의 <맛있는 밥상>- 2009년의 책읽기 22 책 중에 p216-217 전통식사에는 두 가지 차원이 존재한다. 집단의 구성원들이 먹는 음식과 그들이 먹는 방식이다. 이 둘은 똑같이 우리의 건강에 중요하다. 전통식사는 건축 같은 문화의 토착적 창조물들과 비슷하다. 문화는 길고 점진적인 시행착오의 과정을 통해 무엇이 좋은 것인지 찾아낸다. 그리하.. 字夢のノート(공책)/자몽책방 2009.09.04